경제용어사전

계층화추출법

[stratified random sampling]

모집단을 몇 개의 계층으로 나누고 각 계층에서 상호 독립적으로 표본을 임의 추출하는 방법.

계층 내의 원소들이 유사하거나 동질적일 경우 모수추정에서 상당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장조사를 할 때 상품소비자를 그 연령에 따라 5세 이하, 6~15세, 16~20세, 21~30세 등으로 나누고 각 부분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것 등이다. 이 방법에서 각 층은 동질적이므로 표본추출률이 낮더라도 표본분산이 적기 때문에 표본조사의 결과로서 모집단의 성질을 추정할 때 신뢰성이 높다.

  • 검사인[inspector]

    회사 업무와 재산 상태를 조사하는 임시 직무로 상법 367조에 근거를 두고 있다. 회계 ·...

  • 경기확산지수[Diffusion index, DI]

    경기변동이 경제의 특정부문에서 시작되어 점차 전체 경제부문으로 확산, 파급되는 과정을 경제...

  • 광면역요법

    근적외선에 반응하는 화학물질과 특정 암세포에 달라붙는 성질을 지닌 단백질 항체를 결합한 약...

  • 국제수학자총회[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ICM]

    수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 대회로, 4년에 한 번씩 개최된다. 이 대회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