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계층화추출법

[stratified random sampling]

모집단을 몇 개의 계층으로 나누고 각 계층에서 상호 독립적으로 표본을 임의 추출하는 방법.

계층 내의 원소들이 유사하거나 동질적일 경우 모수추정에서 상당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장조사를 할 때 상품소비자를 그 연령에 따라 5세 이하, 6~15세, 16~20세, 21~30세 등으로 나누고 각 부분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것 등이다. 이 방법에서 각 층은 동질적이므로 표본추출률이 낮더라도 표본분산이 적기 때문에 표본조사의 결과로서 모집단의 성질을 추정할 때 신뢰성이 높다.

  •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산업현장의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직무능력(지식, 기술, 태도)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도출...

  • 김치 프리미엄

    한국 시장에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의 가상화폐가 외국보다 비싸게 팔리는 현상. 공급보...

  • 공유 가치 창출[Creating Shared Value, CSV]

    기업의 경제적 가치와 공동체의 사회적 가치를 조화시키는 경영으로, 2011년 마이클 포터가...

  • 기타 요구불예금

    공공기관의 수납대행업무나 대출금 사후관리업무에서 비롯되는 예수금을 구분, 관리하기 위해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