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계층화추출법

[stratified random sampling]

모집단을 몇 개의 계층으로 나누고 각 계층에서 상호 독립적으로 표본을 임의 추출하는 방법.

계층 내의 원소들이 유사하거나 동질적일 경우 모수추정에서 상당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장조사를 할 때 상품소비자를 그 연령에 따라 5세 이하, 6~15세, 16~20세, 21~30세 등으로 나누고 각 부분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것 등이다. 이 방법에서 각 층은 동질적이므로 표본추출률이 낮더라도 표본분산이 적기 때문에 표본조사의 결과로서 모집단의 성질을 추정할 때 신뢰성이 높다.

  • 갤러리 맨

    승진을 통해서 성취욕구를 느끼거나 자아실현을 하겠다는 꿈을 포기하고 언젠가는 자신에게 맞는...

  • 경영권[management right]

    회사의 의사결정권을 말한다. 경영진에 배타적으로 속하고 단체교섭협약의 대상이 되지 않는 권...

  • 국가위험도[country risk]

    국가위험이란 투자상대국의 정치, 경제와 법령상의 문제로 야기될 수 있는 투자원리금의 상환불...

  • 국제가전박람회[Internationale Funkausstellung, IFA]

    매년 9월 독일 베를린에서 1주간의 일정으로 열리는 유럽최대의 가전 박람회. 독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