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본수지

[balance of capital]

경상수지가 상품이나 서비스 거래를 대상으로 하는 데 비해 자본수지는 정부와 민간이 해외로부터 차입 등의 방식으로 외화를 도입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해외에 신용공여 등의 방식으로 외화를 유출함으로써 발생하는 외화의 유·출입차를 나타낸다. 자본수지가 플러스라는 것은 외화의 유입이 유출보다 많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차관 등 외국 빚을 들여온 금액이 갚은 금액보다 많거나 우리가 가지고 있던 대외채권의 회수금액이 공여금액을 상회하여 외국자본이 국내로 유입되었다면 자본수지는 플러스가 되고 반대의 경우는 마이너스가 된다. 한편 자본수지는 1년을 기준으로 거래발생으로부터 상환까지의 기간이 1년이 초과한 거래의 경우를 장기자본수지, 1년 이하의 거래인 경우를 단기자본수지로 구분한다.

  • 절대빈곤가구

    부양 의무자가 없거나 부양 의무자가 있더라도 부양 능력이 없어 사실상 도움을 받을 수 없고...

  • 지방소득세

    납세의무가 있는 개인과 법인이 소득에 따라 내야 하는 지방세다. 개인의 경우 소득세 과세표...

  • 족저근막염

    발바닥에 위치하여 발의 아치를 유지하며 보행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껍고 강한 섬유띠인 족...

  • 중관춘[中關村, Zhongguancun High-tech Zone]

    중국 베이징에 있는 중국 IT기업단지. 여의도의 50배 넓이로 중국판 실리콘 밸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