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의무전환사채

[mandatory CB]

전환사채(CB)는 투자자가 주식전환 혹은 원리금의 현금상환을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다. 의무전환사채도 전환사채의 일종이지만 반드시 주식으로 전환하는 것을 조건으로 발행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주가가 떨어질 경우에도 반드시 주식으로 전환해야 하는 만큼 투자손실을 볼 수도 있다. 반면 기업 입장에서는 발행과 동시에 자본으로 잡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때문에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높여야 하는 금융기관들에서 인기가 높다.

  • 오프쇼어링[off-shoring]

    기업업무의 일부를 해외 기업에 맡겨 처리하는 것. 업무의 일부를 국내기업에 맡기는 아웃소싱...

  • 옴부즈맨제[Ombudsman]

    ‘행정감찰관’ 또는 ‘호민관’ 제도로 불린다. 국민의 권리가 행정부, 사법부 등 정부기관에...

  • 인터넷 기반 토플시험[Internet-based TOEFL, iBT]

    미국교육평가원(ETS)이 컴퓨터 기반 토플 시험(CBT) 방식을 개선하여 발전시킨 새로운 ...

  • 입지규제

    공장이나 판매 창고 시설에서부터 일정 규모 이상의 축사에 이르까지 여러 산업 시설이 들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