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유동성 비율

[current ratio]

기업의 현금 동원 능력을 판단하는 지표이자 재무구조 안정성을 측정하는 비율로 사용된다. 유동자산유동부채로 나누어 구한다. 유동자산이란 현금 및 현금등가물, 매출채권 등 기업이 단기간 내에(일반적으로 1년) 환금이 가능한 자산을 말하고 유동부채란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등 변제기간이 1년 미만인 단기부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유동성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은 좋다고 볼 수 있다. 유동성 비율에는 유동비율당좌비율이 있다. 유동비율은 200%를 적정선으로 보고 있으나 이보다 높다고 하여 반드시 지급능력이 양호하다고 볼 수 없다. 유동자산의 구성 내용이 재고자산에 과다하게 투자되어 있거나 불량채권이 많은 경우 오히려 단기지급능력은 악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동일한 유동비율이라도 유동부채와 유동자산의 규모에 따라 단기지급능력(지급가능금액)은 달라질 수 있다.

  •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 Fed]

    연방준비제도는 미국의 중앙은행으로 우리나라의 한국은행에 해당한다. 줄여서 한글로는 `연준'...

  • 일괄구제

    사업자가 공정거래관련 법령을 위반해 다수의 소비자에게 비슷한 유형의 피해를 입힌 경우 공정...

  • 인트라프리너링[intrapreneuring]

    대기업 내에 소사장을 많이 두는 경영방식. 회사가 잘되기 위해서는 중간관리층의 경영참여를 ...

  • 오버라이팅[overwriting]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와 같은 컴퓨터 저장장치의 데이터를 삭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