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비율
[current ratio]기업의 현금 동원 능력을 판단하는 지표이자 재무구조 안정성을 측정하는 비율로 사용된다.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누어 구한다. 유동자산이란 현금 및 현금등가물, 매출채권 등 기업이 단기간 내에(일반적으로 1년) 환금이 가능한 자산을 말하고 유동부채란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등 변제기간이 1년 미만인 단기부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유동성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은 좋다고 볼 수 있다. 유동성 비율에는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이 있다. 유동비율은 200%를 적정선으로 보고 있으나 이보다 높다고 하여 반드시 지급능력이 양호하다고 볼 수 없다. 유동자산의 구성 내용이 재고자산에 과다하게 투자되어 있거나 불량채권이 많은 경우 오히려 단기지급능력은 악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동일한 유동비율이라도 유동부채와 유동자산의 규모에 따라 단기지급능력(지급가능금액)은 달라질 수 있다.
-
온디맨드[on-demand]
모바일을 포함한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를 통해 소비자의 수요에 맞춰 즉각적으로 맞춤형...
-
유럽경제위원회[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 UNECE]
1947년 창설된 유럽의 경제 위원회로 UN의 다섯 개 지역 위원회 중 하나이다. 회...
-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FCF]
기업이 사업으로 벌어들인 돈 중 세금과 영업비용, 설비투자액 등을 제외하고 남은 현금을 의...
-
이중과세방지협정[double tax avoidance treaty]
기업이 외국에서 돈을 벌었을 경우 본국이나 외국 중 한나라에서만 세금을 물리도록 하는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