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경차

 

길이 3.6m·폭 1.6m·높이 2.0m 이하, 배기량 1,000cc 이하의 차량을 말한다 (2008년 1월 1일 자동차관리법상 규격).

1995년 자동차에 대한 국민적 위화감을 해소하고 보급을 확대한다는 목적에서 경차 제도가 도입됐다. 경승용차로는 대우자동차의 티코가 원조이며 현대자동차의 아토스 등이 뒤를 이었다.

2020년 기준으로는 쉐보레 스파크, 기아 모닝, 기아 레이가 있다.

경차에는 각종 혜택이 주어진다. 자동차세의 50%가 감면되고, 차량 구입시 취등록세가 면제되며, 통행료 및 주차비가 50% 할인된다.

  • 개인 웹메시징 서비스

    이동통신사 홈페이지를 통해 자사 가입자에게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하는 문자 발송 서비스

  • 공공임상교수제

    공공임상교수제는 지역 공공병원의 인력난 해소와 필수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도입된 제도. ...

  • 공익처분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 47조에 따라 시설의 효율적 운영 등 공익을 위해 필요한...

  • 경기변동[business fluctuation]

    경제가‘호황-후퇴-불황-회복’의 경기 국면을 주기적으로 순환하는 현상을 말한다. 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