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절상
달러나 엔화 같은 외화에 대해 원의 가치가 상승하는 것. 원화절상은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과 긍정적 영향을 동시에 가져다 준다. 부정적 영향으론 먼저 우리 제품의 달러 표시 수출가격이 상승한다는 점이다. 원화가치가 상승하게 되면 수출기업이 이전과 동일한 금액의 달러 표시수출을 하고서 손에 넣는 원화금액이 줄어들게 된다. 이 경우 만약 수출기업이 예전과 같은 원화수입을 보장받기 원한다면 달러 표시수출가격을 절상분만큼 인상해야 한다.
수출가격 상승은 결국 수출물량의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원화절상의 긍정적 효과도 있다. 수입물가 하락으로 인한 물가안정이 그중 하나이다.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원화절상이 국내 물가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계산한 결과를 보면 1%의 원화절상은 국내 물가 전체(도매물가)를 0.28% 하락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원화절상은 또 우리 기업의 외채상환부담을 줄이고 금융비용을 크게 경감시키기도 한다. 1년간의 외채원리금 상환액을 25억 달러로 볼 경우 1달러당 15원 정도의 원화절상은 3백 75억 원 정도의 금융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
용융염원자로[molten salt reactor, MSR]
고온의 용융염(molten salt) 속에 핵연료 물질인 토륨, 불화우라늄, 지르코늄, 리...
-
웨비나[Webinar]
웹(Web)과 세미나(seminar)의 합성어로 인터넷의 웹상에서 행해지는 세미나를 말한다...
-
연결재무제표[consolidated financial sheets]
모기업과 자회사를 단일기업으로 간주하여 작성한 재무제표. 법률적으로는 독립돼 있지만 상호출...
-
에너지 수입의존도[dependence of energy on overseas]
1차에너지 공급량에서 순수입 에너지의 비중을 뜻한다. 국내 수입의존도는 1차에너지 소비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