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핵심광물

[critical minerals]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풍력터빈처럼 미래산업을 움직이는 데 꼭 필요한 자원.

하지만 이들 광물은 일부 국가에 매장량이 편중돼 있거나, 생산과 수출이 특정 국가에 크게 의존돼 있어 수급 불안이 일상적이다.

리튬, 니켈, 코발트, 희토류 등이 대표적이며, 공급망이 흔들릴 경우 산업 전체가 타격을 받을 수 있다.

한국처럼 자원 의존도가 높은 나라에선 단순한 ‘소재’가 아니라 경제안보 자산으로 간주된다.

정부는 2023년 총 33종을 ‘핵심광물’로 지정하고, 확보 전략과 비축체계, 재활용 및 해외자원개발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기술이 진보할수록 더 많이, 더 다양하게 필요한 광물. 결국 이 자원의 흐름을 누가 쥐느냐가 미래 제조업의 판도를 가르게 된다.

  • 한계세액공제제

    연간매출액 1억5천만원 미만의 개인 일반사업자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일부 감면해주는 제도. ...

  • 흑기사[Black Knight]

    적대적 인수·합병(M&A)에서 기존 경영진이나 주요 주주의 의사와 관계없이 기업을 인수하려...

  • 화이트 박스[White Box]

    중국업체들이 상표없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만을 사용하여 생산하는 저가형 태블릿PC

  • 하우스 푸어[House Poor]

    ''집을 가진 가난한 사람''을 뜻하는 용어로 직장이 있지만 벌이가 신통치 않아 아무리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