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우선주

[preferred stock]

배당가능한 이익이 발생했을 때나 잔여 재산이 분배될 때 보통주에 우선해 소정의 배당이나 분배를 받을 수 있는 주식이다. 회사의 경영 참여에는 관심이 없고 배당 등 자산소득에만 관심이 있는 투자자를 대상으로 회사자금조달을 위해 발행된다.

우선권의 내용에 따라 일정률의 우선배당을 받고 잔여 이익에 대해서도 보통주와 같이 배당에 참가하는 참가적 우선주와 잔여 이익 배당에는 참가할 수 없는 비참가적 우선주가 있다.

또 당해연도의 배당이 이미 정해진 우선배당률에 미치지 못했을 때 그 부족액을 다음 연도 이후의 이익에서 배당받을 수 있는 누적적 우선주와 그렇지 못한 비누적적 우선주 등이 있다.

채권처럼 미리 정한 기준에 따라 상환하면 상환우선주라고 한다. 보통주로 전환 가능하면 전환우선주로 부른다. 상환전환우선주는 두 조건을 모두 갖춘 경우다.

  • 연금 모수개혁[Parametric Reform]

    모수개혁(Parametric Reform)은 연금제도의 기본 구조를 유지한 채, 지급률, ...

  • 일반공모증자

    기존주주의 신주인수권을 배제하고 불특정다수인을 상대로 유상증자하는 것. 상장 및 등록법인은...

  • 온실가스저감기술협력사업[Technology Cooperation Agreement Pilot Project, TCAPP]

    기후변화협약 4조 5항(개도국으로의 기후변화 기술이전)의 이행을 위하여 1997년 8월에 ...

  • 유튜브 프리미엄[YouTube Premium]

    영상 시작 전 광고를 제거해주는 등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2020년 9월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