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최소 기능 제품

[Minimum Viable Product, MVP]

시장에 가장 빠르게 내놓을 수 있는 최소한의 핵심 기능만 갖춘 제품을 의미한다.

단순히 기능이 적다는 뜻이 아니라, 가장 핵심적인 기능만 담아 시장에 먼저 내놓는 전략이다. 완벽하진 않지만, 고객이 제품의 가치를 직접 경험할 수 있을 만큼은 갖춘 상태다.

스타트업이나 신사업을 시작할 때, 처음부터 모든 기능을 넣으려다 시간과 예산을 다 써버리는 경우가 많다. 반면 MVP는 일단 작게 만들어서 먼저 출시해보고, 실제 사용자 반응을 바탕으로 개선해 나가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음식 배달 앱이라면, 초기에 주문–결제–배달 요청 기능만 넣고 출발하는 식이다.

MVP의 장점은 명확하다. 시간도 절약되고, 실제 시장 수요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며, 피드백을 통해 제품 방향을 유연하게 바꿀 수도 있다. 꼭 스타트업이 아니더라도, 신제품 개발을 할 때 MVP 방식은 불확실성을 줄이는 매우 실용적인 방법이다.

  • 초단위 요금제

    SK텔레콤이 2010년 3월 1일부터 시행한 통신과금체계. 이전에는 10초 단위를 요금을 ...

  • 창고증권방출제도

    중소기업이 가격이 쌀 때 원자재를 구매해 조달청 창고에 보관했다가 원하는 때에 인수해서 쓸...

  • 채권[bond]

    채권이란 일정 기간 후 원금상환 및 이자지급조건이 발행시 확정되어 있는 차용증서를 말한다....

  • 총요소생산성[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생산량 증가분에서 노동증가에 따른 생산증가분과 자본증가분에 따른 생산증가분을 제외한 생산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