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산보유세

[holding tax]

자산보유세는 개인이나 기업이 일정 기간 보유한 자산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이다. 주로 부동산, 토지, 건물, 주택 등이 과세 대상이며, 한국에서는 재산세(지방세)와 종합부동산세(국세)가 대표적이다.

세액은 과세 기준일 현재 보유 중인 자산의 공시가격 등을 기준으로 산정된다. 실물 거래에 부과하는 거래세와 달리, 자산보유세는 자산을 ‘가지고 있는 것’ 자체에 대해 매년 반복적으로 과세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방재정 확충과 부동산 시장 안정화, 자산 양극화 완화 등의 정책적 목적을 담고 있으며, 세율과 과세 구조는 국가별, 지역별로 차이가 있다.

  • 잠정조치

    지적재산권 침해로 인해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있거나 그러한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을 때 ...

  • 중소기업고유업종

    대기업의 무차별적인 시장진입 제한을 위해 중소기업의 사업영역을 보호해 주는 제도로 1979...

  • 지그비[Zigbee]

    ‘Zigzag’와 벌을 뜻하는 ‘Bee’의 합성로 벌이 꽃을 쫓아 옮겨 다니듯이 여기저기 ...

  • 주문형 뉴스[news on demand, NOD]

    선진국 언론들이 시도하고 있는 새로운 뉴스전달방식. 지금까지는 신문사나 방송사가 정보를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