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티브 투자
펀드매니저 등 전문가가 개별 종목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 선별적으로 주식을 사고파는 투자 방식. 시장 평균을 웃도는 수익률을 내는 게 목표다. 패시브 상품에 비해 운용 비용이 많이 든다.
관련기사
-
[투자전략 바꾸는 연기금] "돈 굴리는 펀드 매니저 못믿겠다"…연기금, 지수상품으로 안전주행
국민연금이 지수에 포함된 종목을 기계적으로 매매하는 ‘패시브’ 투자를 늘리기로 한 배경엔 자산운용사 등에 포진한 펀드매니저들에 대한 불신이 자리잡고 있다. 전담 분야를 나눠 자금을 맡겨도 몇 개월이 지나면 원래 포트폴리오를 허물고 단기 수익을 낼 수 있는 종목군에 돈을 넣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는 설명이다. 국민연금으로선 사전에 짜놓은 자산배분 전략이 어그러지는 셈이다. ◆패시브 확대는 세계적 추세 그렇다고 수익률이 잘 나오는 것도 아니다. 지난해 국민연금의 주식 투자 수익률은 연평균 1.6%로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를 넘지 못했다. 2014년엔 연 5% 이상 손실을 냈다. ‘펀드매니저 무용론’이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다. 엄영효 연세대 경영학과 교수는 “연기금의 돈을 대신 굴리는 자산운용사들이 지난 2년 동안 이어진 중소형주 장세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며 “운용 위탁 수수료를 아끼기 위해서라도 패시브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릴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국민연금이 자산운용사에 자금을 맡긴 액티브 운용 물량의 상당분을 자체 패시브 투자로 돌리기 시작한 것으로 보고 있다. 국민연금은 이를 위해 지난해부터 가치주 지수, 고배당 지수, 사회책임투자(SRI) 지수 등을 만들어 효용성을 분석하고 있다. 자산운용사에 위탁한 자금을 줄이는 대신 자체 개발 지수에 포함된 종목을 내부 인력을 활용해 기계적으로 사들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국민연금을 제외한 중소 연기금들은 패시브 투자 확대를 위해 상장지수펀드(ETF)를 적극 활용하는 추세다. 자체적으로 패시브 투자 시스템을 구축할 만한 규모가 안 되기 때문이다. 박민호 사학연금 자금운용관리단장은 “국내 대형 제조업체의 경쟁력이 하락하면서 대형 우량주 중심의 투자 패턴을 바꿔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주요 연기금이 ETF 투자를 꾸준히 늘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기금이 액티브 투자를 줄이고 패시브 투자를 늘리는 것은 한국만이 아니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인 캘퍼스는 ETF에 이미 30조원 이상을 투자했다. 보수가 비싼 주식형 펀드의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 일반 주식형 펀드에 넣은 자금을 ETF로 옮겼다는 설명이다. 전체 시장도 패시브 상품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다. 펀드평가업체 모닝스타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액티브 상품에서 2067억달러의 자금이 탈출했다. 반면 패시브 상품엔 4128억달러의 자금이 순유입됐다. ◆ETF 시장은 커질 듯 연기금의 투자전략 변화로 국내 주식시장 분위기도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수에 포함된 종목을 시가총액 비중대로 담는 만큼 개별 종목의 주가 움직임이 비슷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지수가 내리면 새 자금을 집어넣고, 오르면 이익을 실현하는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분석도 있다. 이렇게 되면 지수의 ‘박스권’이 한층 더 공고해질 수 있다. 자산운용업계의 수익성은 악화될 수밖에 없다. 공모 주식형 펀드 시장이 매년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연기금마저 등을 돌리면 예전만큼의 운용 수수료를 벌어들이기 힘들다는 설명이다. 패시브 상품 위탁 운용 수요가 늘어날 수 있지만 운용 보수는 액티브 상품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다만 ETF 시장엔 긍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상장 ETF의 순자산을 합하면 21조6300억원어치에 달한다. 매년 1조~2조원씩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지만 코스피200을 활용한 일부 상품에 80% 이상의 자금이 쏠려 있다. 전문가들은 고배당주, 성장주 등에 선별적으로 투자하는 ‘스마트 베터형’ ETF가 늘어나 시장이 한층 풍성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액티브(active) 펀드매니저 등 전문가가 개별 종목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 선별적으로 주식을 사고파는 투자 방식. 시장 평균을 웃도는 수익률을 내는 게 목표다. 패시브 상품에 비해 운용 비용이 많이 든다. ■ 패시브(passive) 지수에 편입된 종목을 기계적으로 사고파는 투자 방식. 시장 평균 수익률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액티브 투자에 비해 비용이 덜 든다. 상장지수펀드(ETF), 인덱스펀드 등이 대표적이다. 송형석/허란 기자 click@hankyug.com
2016-03-16
-
요즈마펀드[Yozma fund]
요즈마는 히브리어로 ''혁신''이라는 의미로 1993년 이스라엘 정부와 민간기업이 4:6의...
-
위탁수수료[brokerage commission]
증권회사가 위탁자(고객)로부터 매도 또는 매수주문을 받아 매매가 성립됐을 때 위탁자로부터 ...
-
예스 프로그램[Youth Employment Service Program, YES Program]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15-29살사이의 청년층에게 직업적성파악 부터 직업지도프로그램,...
-
인수[acquisition]
회사(또는 개인)가 다른 회사의 주식과 경영권을 함께 사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