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분산형 에너지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DER]

대규모 발전소가 아닌, 소규모로 지역 곳곳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말한다.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지역 단위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므로 자립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소비지 근처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송전 비용과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셋째, 재생 가능 자원을 활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에는 몇 가지 과제가 존재한다. 기상 조건에 따라 출력이 변동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 또한, 효율적인 에너지 저장 기술과 그린수소 생산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 정부는 2040년까지 분산형 에너지 비중을 30%로 확대하는 목표를 세우고 이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버블 아웃[bubble out]

    신사업부 조직 운영 방안으로서 신사업(e비즈니스 포함)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기존 조직내 ...

  • 브렉시트[Brexit]

    영국을 뜻하는 Britain과 탈퇴를 뜻하는 exit의 합성어로 영국의 EU 탈퇴를 의미한...

  • 보험료 납입기간

    보험료를 내는 기간을 말한다. 비슷한 말인 보험기간은 보험으로 보장을 받을 수 있는 기간을...

  • 비상위험준비금

    비상위험준비금은 이상 화재 등으로 인한 돌발적인 거액 보험금 지급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