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전기요금

 

전기요금은 기본요금, 전력량 요금, 기후환경 요금, 연료비 조정요금 등으로 구성된다.

기본요금은 발전소, 변전소 등 전력 공급 설비 투자에 따른 감가상각비, 수선 유지비 등 고정비를 충당하기 위해 청구되는 요금이다.

전력량 요금은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한 전력량에 대해 부과되는 요금으로 계절과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기후환경 요금은 신재생에너지 의무 이행 비용(RPS),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비용(ETS), 미세먼지 계절 관리제 시행 등에 따른 석탄발전 감축 비용을 반영한 요금이다.

연료비 조정요금은 연료비 변동분을 주기적으로 전기 요금에 반영하는 항목이다.

전기 요금은 전기 공급 방식(고압, 저압), 계약 종별(주택용, 일반용, 산업용, 교육용, 농사용 등)에 따라 단가가 다르게 적용된다.

  • 제네릭 의약품[generic medicine]

    오리지널(original) 화학 합성의약품에 대비되는 말로 과거에는 '카피약' 또는 '복제...

  •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깨끗한 공직사회 건설과 공무원의 노동조건 개선, 정치·경제·사회적 지위향상 등을 목표로 내...

  • 자기효능감[self-efficacy]

    어떤 문제를 자신의 능력으로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자기 자신에 대한 신념이나 기대감...

  • 지구단위계획

    도시 안의 특정한 구역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립하는 일종의 공간계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