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정만회비용

 

조선사가 배 한 척을 생산할 때 예상한 원가보다 더 발생한 비용을 통틀어 이르는 용어다.

수주할 때보다 후판 등 원자재 가격이 올라갔을 때, 인력 부족 여파로 외주 생산비용이 상승했을 때, 납기 지연에 따라 선사에 지급하는 지체보상금(LD)이 발생했을 때 이 비용은 증가한다.

공정만회비용은 계획에 없는 지출이어서 조선사 수익에 타격을 주는 주요인이다.

공정만회비용이 크게 줄었다는 건 계획한 비용과 일정대로 선박을 건조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 국경세[border tax]

    미국 기업이 해외에서 제품을 생산한 후 미국으로 역수출하는 경우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것....

  • 강제실시권[compulsory license]

    각국이 국가 긴급 사태나 극도의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특허권자의 동의 없이 특허를 이용...

  • 그랩[Grab]

    싱가포르에 본부를 둔 동남아시아 최대 차량공유 업체. 말레이시아 출신 앤서니 탄이 설립해 ...

  • 공공경제학[Public economics]

    공공경제학은 관료·정치가 등 공공 영역에서의 행동을 분석하려는 학문이다. 영국의 경제학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