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바이오 리팩토링

[Bio-refactoring]

기술은 기존 미생물의 특성이 아닌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미생물을 재설계하는 기술이다.

2024년 4월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세계김치연구소(소장 장해춘)는 식품 제조 과정에서 폐기물로 버려지는 양배추의 부산물을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자원화하는 '바이오 리팩토링 기반 업사이클링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일정한 조건에서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 등에 의해 완전히 분해될 수 있는 플라스틱을 말한다.

전 세계 양배추와 기타 배추속 작물의 연간 생산량은 7200만톤이며 약 30% 이상은 수확 후 제조·유통 단계에서 폐기돼 환경오염은 물론 산업계에서 폐기물 처리비용이 크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바이오 리팩토링 기반 업사이클링 기술은 양배추 뿐 만 아니라 김치 제조에 사용하는 배추, 양파 등 다양한 농식품 부산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연간 100억 원으로 추정되는 김치 가공 부산물 처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바닥권리금

    상가 위치와 영업상의 이점 등에 대한 대가로 주고받는 권리금의 일종으로 ‘지역권리금’이라고...

  • 부분책임관리

    발주기관이 관리하기 어려운 고난도 공사(예:현수교 등)부분에 대해서만 전문감리회사에게 관리...

  • 배터리 내재화[battery insourcing]

    배터리 내재화는 전기차 업체가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생산하고, 이를 자사의 전기차에 탑재하는...

  • 보험기간[insurance period]

    보험회사는 보험계약에 따라 어떤 일정기간내에 발생한 보험지급 사유에 대하여 보험금을 지급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