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리팩토링
[Bio-refactoring]기술은 기존 미생물의 특성이 아닌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미생물을 재설계하는 기술이다.
2024년 4월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세계김치연구소(소장 장해춘)는 식품 제조 과정에서 폐기물로 버려지는 양배추의 부산물을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자원화하는 '바이오 리팩토링 기반 업사이클링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일정한 조건에서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 등에 의해 완전히 분해될 수 있는 플라스틱을 말한다.
전 세계 양배추와 기타 배추속 작물의 연간 생산량은 7200만톤이며 약 30% 이상은 수확 후 제조·유통 단계에서 폐기돼 환경오염은 물론 산업계에서 폐기물 처리비용이 크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바이오 리팩토링 기반 업사이클링 기술은 양배추 뿐 만 아니라 김치 제조에 사용하는 배추, 양파 등 다양한 농식품 부산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연간 100억 원으로 추정되는 김치 가공 부산물 처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부품자재 관리[Bill of Material management, BOM management]
BOM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그 제품의 부품구성표를 말한다. 부품자재(BOM)관리는 완제...
-
비트크로스[bit cross]
뒷세대 대용량 D램의 비트당 가격이 앞세대 제품의 비트당 가격보다 싸지는 현상이다. 이 현...
-
방화벽[fire wall]
인터넷을 통해 외부인이 무단으로 침입해 중요한 핵심정보를 빼내거나 내부 시스템을 교란시키는...
-
반덤핑 관세제도[antidumping duty system]
외국 제품이 부당한 가격으로 싸게 팔림으로써 국내 관련산업이 타격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