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레깅효과

[lagging effect]

일반적으로 특정 경제 사건이나 정책 변화가 실제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데까지 시간이 지연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금리 인상 정책은 즉각적으로 소비를 감소시키지 않고, 몇 개월 후에 소비 위축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레깅 효과는 원재료 투입 시차효과를 뜻하기도 한다. 원재료를 구매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원재료의 가격이 변동함에 따라 제품의 생산 비용과 수익성이 영향을 받는 것을 말한다.

이 용어는 정유사 실적 분석에서 자주 사용된다. 정유사가 저렴한 가격에 구매한 원유가 국내로 들어올 때까지 유가가 상승하면, 재고 자산 가치가 증가하고 마진이 늘어나게 된다.

  • 라떼 파파[Latte Pap]

    라떼 파파는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성평등한 가족문화를 실천하는 아빠를 뜻하는 용어로,...

  • 랩온어칩[lab on a chip, LOC]

    유리,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수 cm2 크기의 칩(chip) 위에 필요한 분석장치...

  • 리처드 H.세일러

    2017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미국 시카고대 경영대학원 교수로 행동경제학 분야의 권위자로...

  • 라이트닝 네트워크[Lightning Network]

    비트코인의 오프체인 거래 솔루션. 비트코인의 느린 거래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2018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