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와이브로

[WIBRO]

무선 광대역 통신(휴대 인터넷) 서비스로 Wireless(무선) + Broadband(광대역)의 약자 합성어이다.
순수 국산 기술로 개발한 2006년 상용화되었으나 5G기술 도입 등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2019년 부터 서비스가 종료됐다.

와이브로는 시속 100km 안팎으로 달리는 차에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대용량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고 인터넷 전화까지 할 수 있다. 36면 분량의 신문 한 부를 0.7초, MP3 10곡은 24초만에 내려 받을 수 있다. 와이브로 전송속도는 최대하향(다운로드) 240Mbps 상향(업로드)6 Mbps로 고속하향패킷접속(HSPDA)대비 1.4배에서 3배정도 빠르다.

2007년 10월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파총회(RAㆍRadio Assembly)가 와이브로를 포함하는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표준을 ITU의 IMT-2000 표준 중 하나로 채택했다. 3세대 이동통신 국제표준의 6번째 표준으로 채택됐다..

와이브로는 한국에서 기술을 개발하면서 붙인 이름일 뿐 모바일 와이맥스(IEE 802.16e)와 사실상 동일하다. *와이파이, 와이맥스, 와이브로 무선 인터넷 기술은 와이파이(WiFi)에서 와이맥스(WiMax)로, 와이맥스에서 와이브로로 진화해 왔다. 와이파이의 사용가능 환경은 기지국 중심으로 반경 30~200m이고 와이맥스의 사용가능 지역은 기지국 중심 1~45㎞ 정도이다. 와이브로는 사용 가능 지역이 이보다 더 확장되 초고속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었다.

  • 완전평면TV

    화면표시부인 브라운관이 완전히 평평한 TV를 말한다. 이 제품은 기존 둥근 브라운관의 굴곡...

  • 의무보호예수[lock-up]

    증권시장에 새로 상장되거나 인수ㆍ합병(M&A), 유상증자가 있을 때 대주주나 임원 등이 보...

  • 워맨스[womance]

    우먼(woman)과 로맨스(romance)를 합친 신조어다. 소설이나 영화 등에서 여자들 ...

  • 온실가스 흡수원[carbon sink]

    대기중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곳을 말한다. 자연생태계내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중의 하나로 산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