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조용한 퇴사

[quiet quitting]

직장에서 퇴사하지는 않지만, 마음이 떠나서 최소한의 업무만 유지하려는 태도를 말한다.

이들은 업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최소한의 업무만 처리하고, 업무 시간 외에는 회사 연락을 받지 않고, 주말에는 회사 업무를 처리하지 않으려 한다. 또한 회사에 기여하기보다는, 자신만의 업무만 처리한다.

자이들 플린(Zaidle Ppelin)이라는 미국의 20대 엔지니어가 자신의 틱톡 계정에 올린 관련 동영상이 특히 20~30대 직장인들 사이에서 크게 호응을 얻으며 널리 퍼지게 됐다.

조용한 퇴사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들 사이에서 나타난 근무조건, 조직문화, 보상 등에 대한 불만과 대규모 이직 현상인 대퇴직(big quit)의 연장선상에서 발생했다​.

중국에서는 '탕핑(躺平)'이라는 유사한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과도한 근로 문화에 대한 항의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탕핑은 중국 정부에 의해 사회적 안정을 위협하는 요소로 간주되어 관련 게시물이 검열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조용한 퇴사는 이미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문화와 함께 젊은 세대 사이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 직장인 중 상당수가 '받은 만큼만 일하면 된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어, 조용한 퇴사가 주요한 직장 문화로 자리 잡고 있음을 시사한다​​.

관련어

  • 중의성 해결[disambiguation]

    네이버의 통합검색 알고리즘에서 검색어의 중의적 의미가 존재할 경우 검색결과에 다양한 의미를...

  • 전기요금

    전기요금은 기본요금, 전력량 요금, 기후환경 요금, 연료비 조정요금 등으로 구성된다. ...

  • 지분금융[equity financing]

    부채금융과 반대로 기업에서 주식과 같은 소유지분을 매각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것.

  • 지연이체 신청제도

    인터넷이나 폰뱅킹으로 송금을 한 경우, 3시간 이내 취소 버튼을 누르면 이체 거래가 무효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