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조세특례

 

일반적인 세법의 규정에서 벗어나 특정한 목적을 위해 특정한 대상에게 부여하는 세제상의 우대조치를 말한다.

조세특례에는 조세감면, 비과세, 소득공제, 세액감면, 우대세율 적용 또는 과세이연 등이 있다.

조세특례는 정부가 특정 산업이나 계층에게 세금 면제 또는 감액을 통해 지원하는 제도로 조세지출의 한 형태이다.

예산지출과 달리 조세특례제한법을 통해 비과세 또는 세금 감면 혜택을 주는 것으로 간접적인 재정지출이란 점에서 조세지출이라고도 한다. 정부는 1998년 ‘조세특례 일몰제’를 도입해 일정 기간이 지나 정책 효과가 달성되면 특례가 종료되도록 했다.

  • 주식 파킹[stock parking]

    기업을 인수하려는 회사가 우호적인 관계에 있는 제3자에게 인수 목표 회사의 주식을 매입해서...

  • 재포장 금지법

    대형마트 등에서 이미 생산된 제품을 다시 포장해 판매하는 걸 금지하는 법령(시행규칙)이다....

  • 집단대출

    특정 집단내 일정 자격요건을 갖춘 사람들을 대상으로 개별심사 없이 일괄승인에 의해 취급하는...

  • 제대군인지원에 관한 법률

    국토 방위의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전역한 제대 군인의 원활한 사회 복귀를 돕고 인력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