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예대율

[loan to deposit ratio]

대출금을 예수금으로 나눈 비율 또는 예금잔액에 대한 대출금잔액의 비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예금에 비해 대출이 많은 오버론(over-loan)의 정도를 파악하는 자료로 쓰인다. 각 은행이 조달한 예수금을 초과하여 대출을 취급하는 것을 지양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지표다. 예대율은 예금은행들의 경영지표 중 하나.

예대율은 구체적으로 (원화대출금-동대출관련차입금)/(가용예금+원화금융채+가용자기자본)에 100을 곱한 비율이다. 여기서 대출관련 차입금은 원화차입금을 말하며 가용예금은 예수금+수입부금+양도성예금증서(CD)-사채-(예금타점권+지준예치금+국민투자기금예치금+국민투자채권), 가용자기자본은 자기자본에서 고정자산을 뺀 수치를 가리킨다. 예대율의 표준비율은 100%.

예금보다 대출이 많으면 예대율이 100%를 넘게 되므로 은행경영에는 적신호가 들어오는 셈이다. 또 예대율이 100%에 너무 미치지 못한 것도 자금을 제대로 운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 안건신속처리제

    안건신속처리제는 여야 간 이견으로 국회에서 법안이나 안건이 장기간 계류되는 입법 교착 상태...

  • 유전자치료[gene therapy]

    잘못된 유전자를 정상 유전자로 바꾸거나 치료효과가 있는 유전자를 유전자운반체(vector)...

  • 알고리즘 매매[Algorithmic Trading]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통해 일정한 가격이 되면 자동 매수·매도 주문을 내도록 조건(알고리즘)...

  • 유통시장

    이미 발행된 증권이 투자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개인투자자 또는 증권회사, 보험회사, 은행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