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승강기 회생자동장치

[elevator regenerative braking system]

승강기 회생제동장치는 승강기 운행 중 모터가 발생시키는 전력을 버리지 않고 재활용하는 장치이다. 기존에는 승강기가 하강할 때 발생하는 전력을 방열판으로 보내 열로 소모했지만, 회생제동장치를 설치하면 이 전력을 인버터를 통해 공용전기로 변환하여 건물 내 다른 기기나 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다.

회생제동장치 설치로 인해 승강기 운영에 소요되는 전력을 약 10~30% 절감할 수 있다. 이는 7.5인승 승강기 기준 연간 1,448kWh의 전력 절감 효과로, 승강기 1대당 약 2~3만원의 공동전기료 절감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회생제동장치 설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승강기 1대당 약 0.7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으며, 이는 30년 된 소나무 100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효과이다.

  • 스퍼터시스템[sputter system]

    플라스틱 섬유 세라믹의 다양한 소재에 금속박막을 코팅하는 장비다. 특정 고주파로부터 인체를...

  • 실효수익률

    채권수익률란 예금의 이자율과 비슷한 개념으로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

  • 시장소속부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시장 1부와 2부로 분리돼 있다. 일반적으로 1부 종목은 2부 종목에 ...

  • 스탤스 개입[stealth intervention]

    외환 당국이 자국화폐의 강세를 저지하기 위해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는 스텔스 전투기처럼 외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