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승강기 회생자동장치

[elevator regenerative braking system]

승강기 회생제동장치는 승강기 운행 중 모터가 발생시키는 전력을 버리지 않고 재활용하는 장치이다. 기존에는 승강기가 하강할 때 발생하는 전력을 방열판으로 보내 열로 소모했지만, 회생제동장치를 설치하면 이 전력을 인버터를 통해 공용전기로 변환하여 건물 내 다른 기기나 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다.

회생제동장치 설치로 인해 승강기 운영에 소요되는 전력을 약 10~30% 절감할 수 있다. 이는 7.5인승 승강기 기준 연간 1,448kWh의 전력 절감 효과로, 승강기 1대당 약 2~3만원의 공동전기료 절감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회생제동장치 설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승강기 1대당 약 0.7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으며, 이는 30년 된 소나무 100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효과이다.

  • 스폿랩[spot-lab]

    목표수익률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조기청산하여 투자자에게 원리금을 상환하는 증권사 랩상품을 말...

  • 소비자파산

    빚이 많아 이를 갚다 보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다고 인정되는 사람에게 빚을 면제해주는...

  • 심 스와핑[SIM swapping]

    심 스와핑은 공격자가 피해자의 휴대폰 번호를 통신사로부터 탈취해 자신이 통제하는 SIM 카...

  • 스마드족[SMAD]

    각종 정보를 입수해 똑똑하게 물건을 구입하는 ''스마트(smart)족''과 시간이나 장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