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무량판

[flat slab structure]

무량판은 대들보 없이 기둥이 바로 슬래브(콘크리트 천장)를 지지하는 구조다.

일반적으로 기둥이 천장을 잘 지지하려면 기둥과 천장 사이에 보를 연결하는데 이걸 라멘식 구조라고 한다. 기존 라멘식 구조와 달리 무량판 구조는 천장을 지탱하는 게 기둥뿐이다.
기둥과 맞닿는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슬래브가 뚫리는 것을 막으려면 기둥 주변에 철근(전단보강근)을 여러 겹 감아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하중을 견디지 못해 기둥이 슬래브를 뚫는 일명 '펀칭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무량판 구조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국내에선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의 오명으로 사용을 꺼려왔다. 백화점 등 일부 상업용 건물에만 무량판 방식을 써왔다.

2010년대 중반부터 공사비 절감과 내부 공간 활용 등 무량판 구조의 장점이 부각되면서 아파트 지하 주차장 등에도 적용되기 시작했다.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내부 구조를 바꾸기 쉽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건설 공사에선 터 파기에 상당한 비용이 드는데 무량판은 보를 두지 않아 층고를 낮출 수 있다. 암반이 많은 국내 지형 특성상 비용 절약 효과가 클 수밖에 없다. 지하 주차장 내부를 좀 더 넓게 쓸 수 있어 주차 공간이 늘어나 주민 만족도가 높다.

내부 리모델링이 어려운 벽식구조 아파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몇 년 사이엔 주거동에도 무량판 구조를 적용하는 아파트가 늘었다. 가구와 가구 사이에는 내력벽을 두되, 가구 내에는 벽을 가변형으로 쓸 수 있도록 무량판 구조를 채택하는 절충형이다.

무량판 구조는 설계나 시공 관리가 철저히 이뤄지지 않으면 붕괴에 취약한 구조로 꼽힌다.

  • 메자닌 금융[Mezzanine Financing]

    메자닌은 건물 1층과 2층 사이에 있는 중간층을 뜻하는 이탈리아어에서 유래한 말로 금융에선...

  • 마스트리히트조약[Treaties of Maastricht]

    EC(유럽공동체)가 시장통합을 넘어 정치·경제적 통합체로 결합하기 위한 터전이 된 조약. ...

  •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 MID]

    3~7인치 화면에 인텔 아톰 프로세서를 CPU로 장착한 초소형 PC를 뜻한다. 8~12인치...

  • 매출채권 팩토링

    금융기관들이 기업으로부터 상업어음이나 외상매출증서 등 매출채권을 매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