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아스파탐

[aspartame]

설탕의 200배 단맛을 내는 인공 감미료. 백색의 밀가루 같은 형태를 띠고 있다. 1965년 화학자 제임스 슐레터가 처음 발견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1974년 사용을 허가했지만, 유해 논란 끝에 1979년이 돼서야 판매가 시작됐다.

아스파탐은 혈당이나 인슐린 수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당뇨병 환자를 위한 식품에서 설탕 대용품으로 인기를 끌어왔다. 제조업체들은 또한 설탕 과다 섭취가 다양한 암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저설탕 및 무설탕 스낵, 조미료, 음료에 아스파탐을 사용해왔다.

2023년 7월 14일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성이 잠재적으로 의심되는 물질을 뜻하는 ‘그룹 2B’로 분류했다.

그룹 2B엔 암을 일으킨다는 증거가 충분하진 않지만, 발암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고 고려되는 물질 및 행위가 포함돼 있다. 배기가스, 휘발유, 자기장을 비롯해 알로에베라, 고사리, 김치 등 절임 채소 등이 이 그룹에 포함된다.

WHO가 아스파탐을 그룹 2B로 지정하더라도 그 즉시 국내에서 사용이 금지되는 것은 아니다. 식약처가 국민의 섭취량 등을 조사하는 위해성 평가를 한 뒤 별도의 안전 관리 방안을 마련한다.

IARC가 2015년 소시지, 햄 등 가공육과 붉은 고기를 각각 그룹 2B보다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하는 ‘그룹 1’과 ‘그룹 2A’로 분류했을 때도 국내 기준엔 변동이 없었다.

식약처는 2019년 발간한 ‘식품첨가물 기준·규격 재평가 최종보고서’에서 “아스파탐의 식품 섭취 노출량을 검토한 결과 안전성 염려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힌 바 있다.

식품 위해성 평가를 총괄하는 JECFA는 1980년 체중 1㎏당 아스파탐 40㎎ 정도를 매일 섭취해도 안전하다는 기준을 제시했다. 이 기준에 따르면 체중이 35㎏인 어린이는 다이어트 콜라를 하루에 33캔(한 캔에 250mL·캔당 아스파탐 약 43㎎ 함유 기준) 이상 마셔야 일일 섭취 허용량을 초과한다.

관련어

  • 예비전력

    전력수급의 균형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최대 수요를 초과하여 보유하는 발전력을 말...

  • 유동외채비율

    유동외채를 외환보유액으로 나눈 값. 유동외채는 만기1년 이내의 단기외채에 1년 이내 만기가...

  • 에너지안보[energy security]

    에너지는 국가경제를 뒷받침하는데 불가결한 것이며, 국가의 안전보장과 깊이 결부되어 있기 때...

  • 웹시족

    웹(web)과 미시(missy)를 합해 만든 말로 이들은 인터넷을 통해 육아, 쇼핑, 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