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아스파탐

[aspartame]

설탕의 200배 단맛을 내는 인공 감미료. 백색의 밀가루 같은 형태를 띠고 있다. 1965년 화학자 제임스 슐레터가 처음 발견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1974년 사용을 허가했지만, 유해 논란 끝에 1979년이 돼서야 판매가 시작됐다.

아스파탐은 혈당이나 인슐린 수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당뇨병 환자를 위한 식품에서 설탕 대용품으로 인기를 끌어왔다. 제조업체들은 또한 설탕 과다 섭취가 다양한 암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저설탕 및 무설탕 스낵, 조미료, 음료에 아스파탐을 사용해왔다.

2023년 7월 14일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성이 잠재적으로 의심되는 물질을 뜻하는 ‘그룹 2B’로 분류했다.

그룹 2B엔 암을 일으킨다는 증거가 충분하진 않지만, 발암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고 고려되는 물질 및 행위가 포함돼 있다. 배기가스, 휘발유, 자기장을 비롯해 알로에베라, 고사리, 김치 등 절임 채소 등이 이 그룹에 포함된다.

WHO가 아스파탐을 그룹 2B로 지정하더라도 그 즉시 국내에서 사용이 금지되는 것은 아니다. 식약처가 국민의 섭취량 등을 조사하는 위해성 평가를 한 뒤 별도의 안전 관리 방안을 마련한다.

IARC가 2015년 소시지, 햄 등 가공육과 붉은 고기를 각각 그룹 2B보다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하는 ‘그룹 1’과 ‘그룹 2A’로 분류했을 때도 국내 기준엔 변동이 없었다.

식약처는 2019년 발간한 ‘식품첨가물 기준·규격 재평가 최종보고서’에서 “아스파탐의 식품 섭취 노출량을 검토한 결과 안전성 염려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힌 바 있다.

식품 위해성 평가를 총괄하는 JECFA는 1980년 체중 1㎏당 아스파탐 40㎎ 정도를 매일 섭취해도 안전하다는 기준을 제시했다. 이 기준에 따르면 체중이 35㎏인 어린이는 다이어트 콜라를 하루에 33캔(한 캔에 250mL·캔당 아스파탐 약 43㎎ 함유 기준) 이상 마셔야 일일 섭취 허용량을 초과한다.

관련어

  • 액면분할[stock split]

    기업이 주식의 액면가를 낮추고 주식 수를 늘리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주당 액면가...

  • 임팩트 리포트[impact report]

    기업이나 조직이 환경, 사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보고서, 임팩트...

  • 인터넷 은행

    모바일과 인터넷으로만 영업하는 은행. 1년 365일 하루 24시간 가동되는 인터넷은행은 기...

  • 연구용 원자로[research reactor]

    우라늄의 핵분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상용 원전과는 달리 핵분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