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영구채

[consol bond, perpetual bond]

만기가 정해져 있지만 발행회사의 선택에 따라 만기를 연장할 수 있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는 채권.
원금을 상환하지 않고 일정 이자만을 영구히 지급할 수 있다. 주식과 채권의 중간 성격을 띠어 신종자본증권(하이브리드채권)으로도 불린다.

일정률의 이자지급은 있으나 상환기간이 없고 발행회사의 해산이나 중요한 채무불이행 등의 특수한 경우 이외에는 상환하지 않으므로 불상환사채라고 한다.
발행회사가 청산하면 투자자가 원리금을 상환받는 순위가 뒤로 밀리기 때문에 통상 일반 회사채보다 신용도가 낮고 금리가 높다.

만기는 없지만 일정 기간이 지나면 돈을 갚을 수 있는 콜옵션이 있어 대부분 중도 상환이 이뤄진다.

주로 국가기관이나 대기업 등에서 장기적인 자금조달이 필요할 경우에 발행한다.

하지만 2018년 8월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는 기업을 청산할 때 금융상품을 발행자가 갚아야 할 경우, 성과나 주가에 상관없이 보유자에게 특정 금액의 수익을 약속해야 할 경우 ‘금융부채’라고 명시했다. 이 원칙을 적용하면 영구채는 부채로 분류될 여지가 크다. 또한 2019년 3월 금융감독원도 영구채 분류에 대해 IASB와 같은 의견을 제시하면서 영구채가 부채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관련기사

  • [마켓인사이트] 두산중공업 영국법인, 3억弗 영구채 발행

    ▶마켓인사이트 11월6일 오후 4시7분 두산중공업의 영국 법인이 3억달러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영구채)을 발행한다. 영구채는 주식처럼 정해진 만기가 없이 이자만 지급하는 채권으로 국제회계기준(IFRS)에서는 자본으로 분류한다. 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두산중공업의 영국 법인 두산파워시스템은 다음달 1일 3억달러의 영구채를 발행한다. 한국수출입은행이 영국 법인의 영구채 원리금 지급을 보증하기로 했다. 두산중공업은 지급 보증을 서는 수출입은행에 두산인프라코어(지분율 36.4%)와 두산엔진(42.66%) 보유 지분 전량을 담보로 제공하기로 했다. 이 회사가 담보로 제공하는 두산인프라코어와 두산엔진 지분 가치는 이날 종가 기준 5819억원이다. 영구채의 명목 만기는 30년이지만 발행회사인 영국 법인의 요청에 따라 계속 연장할 수 있다. 영국 법인은 영구채 발행일로부터 3년 뒤 조기 상환할 수 있는 권리(콜옵션)도 갖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IFRS에 따라 영구채 발행금액을 전부 자본으로 계산해 회계처리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연결기준 부채비율은 275.3%에서 263.2%로 12.1%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2015-11-07
  • 이주비 대출

    은행이 재건축 대상 토지를 담보로 제공하는 대출. 담보대출 금리는 피담보 물건에 대한 ...

  • 私人의 금지청구권

    개인이나 기업이 거래 상대방의 불공정 행위로 피해를 입었을 때 법원에 중지명령을 요청할 수...

  • 여수신제도

    중앙은행이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대출하거나 예금을 받는 것으로 △자금조정 대출 및 예금 △총...

  •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continuously variable valve duration, CVVD]

    CVVD기술은 엔진 밸브가 열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현대기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