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김수키

[Kimsuky]

2012년 북한이 한국과 미국 등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위해 만든 해킹 조직으로 정찰총국 산하 조직이다.

전 세계 정부와 정치권·학계·언론계 주요 인사를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감행해 얻어낸 정보를 북한 정권에 제공한다.


2014년 한국수력원자력 원전 도면 유출, 2016년 국가안보실 사칭, 2021년 대우조선해양 잠수함과 함정 개발기술 절취 시도, 한국항공우주(KAI) 한국형 전투기 KF-21 보라매 등 다양한 무기체계 절취 시도, 서울대병원 환자 7000여명 개인정보 유출 사건의 배후로도 지목됐다.

한ㆍ미ㆍ일 모두의 독자 제재를 받는 북한의 또 다른 대표적인 해킹 조직 '라자루스'와 달리 김수키는 주로 남측을 타깃으로 해킹을 일삼아왔다.

‘김수키’는 주로 사람의 신뢰ㆍ사회적 관계를 이용하여 사람을 속임으로써 비밀 정보를 획득하는 사회공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고 있다. 특히 표적 온라인 사기(스피어피싱) 공격*을 감행하여 정보를 탈취하고 있다.

  • 관리비[administrative expense]

    생산과 판매의 직접비용처럼 특정한 기능과 쉽게 연결되지 못하는 비용. 이것은 대체적으로 집...

  • 개방형 OS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PC 운영체제. 리눅수 (Linux)...

  • 경제동반자협정[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EPA]

    일본에서 자유무역협정(FTA) 대신 만들어낸 용어로 전면적인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의 해소를...

  • 갑기금[capital A]

    갑기금은 대차대조표상의 자본금계정으로 금융통화운영위원회가 인정하는, 다음에 해당되는 자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