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그레샴의 법칙

[Gresham’s law]

흔히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한다(bad money drives out good)’는 말로 표현되는 법칙.

소재의 가치가 다른 화폐(금화와 은화)가 동일한 액면가의 화폐로 유통될 경우 소재 가치가 높은 화폐(금화)는 퇴장하고 가치가 낮은 화폐(은화)만 유통되는 현상을 뜻한다.

이 현상은 사람들이 물건을 구매할 때 소재 가치가 낮은 화폐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려고 하며, 가치가 더 높은 화폐는 보관하거나 다른 투자 수단으로 사용하려 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시장에서는 가치가 낮은 화폐만이 유통되게 되고, 가치가 높은 화폐는 점차 사라지게 된다.

  • 기술파급효과

    기업의 연구개발 노력 결과로 다른 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혜택을 누리는 현상. 냉전시기...

  • 공매수[margin buying]

    신용거래제도에 의하면 투자자는 대금을 모두 지불하지 않아도 일정한 위탁보증금만 적립하면 주...

  • 국제학업성취도평가[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회원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과 공동으로 실시하는 학업성취도 비교...

  • 국방개혁 2020

    국방운영체계 선진화, 군 구조 · 전력체계 및 3군 균형발전, 병영문화 발전 문민화 등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