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유럽 사이버 보안관리체계

[Cybersecurity Management System, CSMS]

자동차와 전기·전자 부품 등 그 시스템에 대해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자동차의 개발과 생산, 생산 이후 단계 등 해당 차량의 전체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체계적인 프로세스와 관리 시스템 구축을 요구한다.

유럽경제위원회(UNECE)는 2020년 6월 차량 사이버보안 관련 법규인 ‘UNECE R-155(UNECE Regulation No.155: Cybersecurity Regulation)’를 채택하고 2021년 1월 공식 발효했다. 이에 따라 2022년 7월 이후 개발에 들어가는 모든 자동차는 해당 법규에 따른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인증을 받아야하고 CSMS 체계에 따라 차량이 개발되었는지 형식승인(VTA, Vehicle Type Approval) 또한 받아야만 유럽경제위원회 협약국에 출시할 수 있다. 유럽경제위원회에는 유럽 연합 외에도 한국, 일본 등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의 56개 국가들이 참여하고 있다.

CSMS 자체에는 별도의 인증서가 없다.

대신 ISO/SAE 21434 표준 인증을 받는 것은 CSMS인증을 취득했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관련어

  • 워킹 푸어[working poor]

    직장은 있지만 아무리 일을 해도 가난을 벗어나지 못하는 근로빈곤층을 말한다. 이들의 소득은...

  • 이중대표소송

    자회사 임원들이 불법 행위를 저질렀을 때 모회사의 지분 1% 이상을 갖고 있는 주주가 자회...

  • 유로채

    채권발행자가 해외에서 제3국의 화폐로 발행하는 채권. 대부분 유럽지역에서 발행되므로 이런 ...

  • 어닝 서프라이즈[earnings surprise]

    어닝 서프라이즈는 시장 예상치에서 훨씬 벗어넘는 깜짝 실적을 말한다. "포지티브(pos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