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데이터 전문기관

 

기업간 데이터 결합을 전문적으로 지원하며,익명정보의 익명처리 적정성을 평가하는 기관.

A사가 갖고 있는 가명정보와 B사가 갖고 있는 가명정보를 합쳐 빅데이터를 구축하고자 할 때 데이터전문기관의 적정성 심사를 거쳐 각사의 정보를 결합할 수 있다.

데이터 전문기관은 신용정보법에 따라 금융위가 지정하는데 데이터의 익명·가명처리 적정성을 평가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결합해 주는 기관을 정한다.

금융위원회가 2020년 8월 5일 부터 시행한 개정 신용정보법에서는 안전하게 활용가능한 익명·가명정보 개념을 도입했으며 정부가 지정한 데이터전문기관을 통한 기업간 데이터(가명정보) 결합을 허용했다.

디지털 경제 시대 융합新산업 성장을 위해서는 금융, 통신, 유통 등 이종 산업간 데이터의 융합과 활용이 중요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관련어

  • 딥시크 V3[DeepSeek V3]

    중국 인공지능 기업 딥시크(deepseek)가 2024년 12월 말 공개한 대형언어모델(L...

  • 돈세탁

    마약, 밀수, 무기 거래와 같은 각종 범죄나 뇌물 등 부정비리로 조성된 불법자금을 금융기관...

  • 대주주 양도세

    '대주주'인 개인이 보유한 주식을 매각해서 얻은 차익에 대해 부담해야 하는 세금. ...

  • 대량주식소유의 신고[filing of changes in ownership of block shares]

    상장회사 발행주식의 10% 이상을 소유한 주주가 그 소유 주식의 비율이 변할 때마다 증권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