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단말기 완전자급제

 

단말기 구입과 통신요금 가입을 분리하는 제도. 이 제도가 도입되면 이용자는 온·오프라인 판매점에서 스마트폰 공기기를 구입한 뒤 통신사 대리점에서 요금제 가입을 해야 한다.

지금과 달리 통신사 대리점이 단말기를 팔 수 없다.

단말기 완전자급제는 2018년 초 정부 부처와 이해관계자,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가계통신비 정책협의회에서 격론 끝에 “법률로 강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린 뒤 별다른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그러나 2018년 10월 10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도입필요성에 공감한다고 밝히면서 완전자금제 도입에 대한 찬반토론이 재개되고 있다.

  • 대외지급요소소득

    외국인이 국내에서의 생산활동으로 만들어진 부가가치로 해외에 지급하여야 할 요소소득을 말한다...

  • 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DDT]

    유기염소 계열의 살충제이자 농약. 값싸고 빠르게 해충을 제거할 수 있어 2차 세계대전 이...

  • 다우의 개[Dogs of the Dow]

    미국 다우지수(Dow-Jones Industrial Average)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 디지털 통화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동전이나 지폐와는 달리 디지털 신호로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화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