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탄소톤/이산화탄소톤

[ton of carbon/carbon dioxide ton, TC/TCO2]

탄소톤(TC)은 온실가스중 가장 비중이 큰 이산화탄소(CO2)를 탄소(C)를 기준으로 환산한톤을 말한다. 즉, 발생(또는 감축)된 탄소의 총량을 톤(t)으로 환산한 것이다. 예를 들어, 탄소의 원자량은 12이고 이산화탄소의 원자량은 44이므로, 1톤의 이산화탄소는 1 x 12/44가 되어 약 0.28탄소톤이 된다.

한편, 이산화탄소톤(tCO2)은 발생(또는 감축)된 이산화탄소의 총량을 톤(t)으로 환산한 것이다.

둘 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데, 현재 국제적으로 사용하는 온실가스의 단위는 탄소톤이다.

관련어

  • 트래블 룰[travel rule]

    암호화폐거래소 등 가상자산 사업자가 가상자산을 전송할 때 거래인의 실명 등 관련 정보를 모...

  • 텔렉스[telex]

    전화의 자동교환과 인쇄전신의 기술을 이용한 기록통신방식. 다이얼 등으로 상대가입자를 호출하...

  • 토지거래신고제

    부동산투기를 억제하기 위해 일정 평수 이상의 토지거래를 할 경우 관계기관에 신고를 의무화한...

  • 특종보험[casualty insurance]

    손해보험중 화재, 해상, 자동차 및 보증보험 등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보험. 상해보험,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