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아메바 경영

 

조직을 아메바라고 부르는 10명 남짓의 소집단으로 나누는 데서 출발한다. 각 아메바는 리더를 중심으로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멤버 전원이 노력해 목표를 달성하는 구조를 갖춘다. 사원들이 주도적으로 경영에 참가하는 게 특징이다. JAL의 조기 정상화는 그가 추구하는 아메바 경영의 효율성을 세계에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경영의 신’으로 불린 이나모리 가즈오 교세라 1965년 고안한 시간당 채산제도가 시초다. 이후 교세라만의 독창적인 경영관리법으로 자리잡았다.

다만 일각에서는 그의 경영 스타일이 시대에 뒤처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그가 별세하기 직전 10여 년간 교세라의 성적표는 매우 부진했다”고 전했다. 이토 가즈노리 모닝스타 애널리스트는 “교세라에는 이제 현대에 걸맞은 경영 스타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어

  • 은행신탁계정

    은행의 업무영역은 예금·적금 등을 맡는 고유계정(은행계정)과 고객의 자산을 위탁받아 대신 ...

  • 액면가[par value]

    주권표면에 적힌 금액으로 주당 5천원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1천원, 5백원, 1...

  • 연계콜

    투자신탁회사가 고객이 맡긴 신탁재산에서 자금중개회사를 거쳐 회사 고유계정으로 돈을 차입하는...

  • 워터마킹[watermarking]

    원래는 중세시대 교회에서 암호문을 보낼 때 사용한 투명한 그림이나 글씨를 말한다. 이후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