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사전지정운용제

[default option]

가입자가 직접 운용할 수 있는 퇴직연금이 운용 지시 없이 방치되고 있으면 회사와 근로자가 사전에 지정한 방법으로 운용되도록 하는 제도다. '디폴트 옵션'이란 이름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사전지정운용제는 미국, 영국, 호주 등 영미권 국가가 선제 도입해 퇴직연금의 장기 운용성과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한국도 자산운용 활성화를 통해 퇴직연금자산의 고질적인 문제인 낮은 수익률을 끌어올리고자 도입을 결정했다.

우리나라에선 2022년 7월 도입할 예정으로 디폴트옵션의 적격상품군에는 TDF, 밸런스펀드, 인프라(SOC)펀드 등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으로 자산을 배분하거나 주기적으로 투자 대상을 조정하는 상품이다.

관련어

  • 서울런

    서울런(slearn.seoul.go.kr)은 서울특별시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으로...

  • 상생협력법

    대기업의 중소기업 기술탈취를 근절하기 위해 ‘비밀유지계약 의무화,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

  • 시스템 통합관리[system management, SM]

    SM은 일반적으로 고객의 정보시스템 기능을 장기 계약하에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는 것으...

  • 생활대책용지

    신도시.택지개발예정지구 내에서 기존에 영업을 하거나 농축산업을 하던 생업종사자에게 생활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