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랜
서로 다른 제조사가 만든 통신장비를 상호 연동할 수 있는 기술다. 기존 무선접속망을 개방형으로 바꾸는 것이다.
기존엔 통신장비 제조사 간 규격이 달라 각 장비를 하나의 랜 통신망에서 호환해 쓰지 못했다. 통신사가 특정 지역에 대해 노키아 통신장비를 채택하면 새로운 통신 세대가 도입되지 않는 한 계속 노키아 것만 쓰는 업계 관행이 굳은 이유다. 하지만 오픈랜을 도입하면 통신사가 특정 제조사 장비에 더는 종속되지 않아도 된다. 장비 선택지가 크게 넓어지기 때문에 기지국 관리에 드는 시간과 비용이 줄어든다.
이는 국내 기업들엔 큰 기회다. 시장 문턱이 낮아져서다. 작년 기준 세계 통신장비 시장 점유율 3%대인 삼성전자도 점유율을 확 넓힐 수 있다는 얘기다. 국내 중소 통신장비기업도 해외 시장에 비집고 들어갈 수 있게 된다.
-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전력이 남아돌때 저장한 뒤 부족할 때 쓰거나 필요한 곳으로 보내주는 저장장치. 태양광, 풍...
-
안목치수
아파트 면적을 계산할 때 눈으로 보이는 벽체 안쪽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그동안 아...
-
울프슨지수[Wolfson Index]
중위소득으로부터 소득의 분산 정도가 클수록 중산층 규모가 감소한다는 가설을 전제로 중산층의...
-
임상시험용 의약품의 치료목적 사용 승인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생명이 위급하지만 적절한 치료 수단이 없는 환자에게 개발 중인 의약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