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오픈랜

 

서로 다른 제조사가 만든 통신장비를 상호 연동할 수 있는 기술다. 기존 무선접속망을 개방형으로 바꾸는 것이다.

기존엔 통신장비 제조사 간 규격이 달라 각 장비를 하나의 랜 통신망에서 호환해 쓰지 못했다. 통신사가 특정 지역에 대해 노키아 통신장비를 채택하면 새로운 통신 세대가 도입되지 않는 한 계속 노키아 것만 쓰는 업계 관행이 굳은 이유다. 하지만 오픈랜을 도입하면 통신사가 특정 제조사 장비에 더는 종속되지 않아도 된다. 장비 선택지가 크게 넓어지기 때문에 기지국 관리에 드는 시간과 비용이 줄어든다.

이는 국내 기업들엔 큰 기회다. 시장 문턱이 낮아져서다. 작년 기준 세계 통신장비 시장 점유율 3%대인 삼성전자도 점유율을 확 넓힐 수 있다는 얘기다. 국내 중소 통신장비기업도 해외 시장에 비집고 들어갈 수 있게 된다.

  • 의존재원

    지방자치단체의 운영재원중 자체수입(지방세등)을 제외하고 중앙정부로 부터 이전받는 국고보조금...

  • 영재교육진흥법

    재능이 우수한 학생을 조기 발굴해 능력과 소질에 맞는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인재를 확보하기 ...

  • 인증제도

    인증은 제품과 서비스 등이 특정 요건을 충족시켰는지를 정부가 정한 시험기관이 보증하는 제도...

  • 유통통화[currency in circulation]

    경제에서 유통중인 지폐와 동전. 유통 중인 총통화의 일부로 계산된다. 총통화는 은행에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