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배터리 교체방식

[battery swap]

전기차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를 충전해서 사용하는 대신 배터리를 교체하는 방식.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는 것처럼 교환소에서 5분 내에 배터리를 바꿔 장착하는 배터리 스와프는 전기차의 최대 약점인 충전시간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배터리가 여러사람이 렌탈비와 전기충전료 내고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유 물품이 됨으로써 전기차 가격의 40%에 해당하는 배터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배터리 스와프의 단점은 교환소 설치 비용이 충전소의 10배에 달하고 교체용 배터리를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는 점 등이 꼽힌다.

중국 민영 1위 완성차 업체인 지리차가 2017년부터 독자적으로 배터리 스와프 기술을 개발해왔다. 2021년 9월 ‘E에너지’란 브랜드의 교환소를 서부 대도시 충칭에 처음으로 열었다. 2025년까지 교환소를 5000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1분 안에 모든 작업을 끝낼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지리차는 2021년 11월엔 배터리 스와프 시스템을 장착한 ‘홈트럭’이란 전기트럭을 공개했다. 2024년 첫 양산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며 2030년까지 57만 대를 생산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장거리 물류 트럭에 배터리 스와프를 적용해 충전시간을 줄이면 전기트럭 판매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보고 있다.

중국 ‘전기차 신세력’으로 불리는 웨이라이(NIO)는 2014년 출범할 때부터 배터리 스와프를 내걸어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배터리를 빼고 전기차를 팔아 가격을 낮추는 한편 배터리를 대여해주는 구독 서비스도 도입했다. 현재 중국 전역에 700여 개 교환소를 운영 중이다. 중국 최대 배터리 업체인 CATL은 최근 배터리 스와프 브랜드 ‘eVOGO’를 내놨다.

  • 본질가치

    특정 기업의 현재 가치를 합리적으로 평가한 금액으로 투자자들이 주식을 매수하기 전에 기업의...

  • 배당가능이익[profit available for dividend]

    배당금은 당기이익 중 사외로 유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법에서는 회사의 부실을 막기위해 주...

  • 블랙벨트[black belt]

    식스시그마라는 개념을 정립하고 확산시킨 바로 모토로라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식스시그마 전문...

  •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usiness intelligence, BI]

    기업 전략 수립과 운영 최적화를 위해 데이터를 수집, 분석, 시각화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