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소부장 기업

 

소재·부품·장비 업종을 일컫는 말.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소재와 자동차 부품, 제조를 위한 제조장비 등 우리나라 산업의 중심인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산업을 말한다.

1980년대 초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가 설립되면서 "소재·부품·장비 산업"을 위한 기술 개발 및 지원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소부장 산업"이라는 용어가 등장했다.

이 용어는 일본이 2019년 7월에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3종에 대한 한국 수출 규제를 강화한 이후에 소재·부품·장비 자립을 위한 정부의 정책과 지원이 활발해지면서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정부는 소부장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20년부터 소부장 으뜸기업을 선정하고 있다

관련어

  • 사이보 금리[Seoul inter bank offered rate]

    국내 금융산업의 중장기 발전방안의 하나로 "사이보 금리"를 도입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 스마트 디바이드[smart divide]

    스마트폰 적극적으로 활용해 정보를 빠르게 습득하는 사람과 그러지 못하는 사람 사이에 발생하...

  • 산업공학[industrial engineering]

    산업생산성을 연구하고 추천된 변화를 수행하는 학문.산업공학은 근로자, 재료, 설비의 통합된...

  • 슬로 스티밍[slow steaming]

    해운업계에서 감속운항을 통해 운항되는 배의 숫자를 늘리는 정책으로 유류비를 낮추기 위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