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합성인증
[適合性認證, Industrial convergence new product certificate]융합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제품이 관련 시장에 출시에 필요한 기존 인·허가 기준에 부합하지 않거나 기준이 없는 경우 적합성 인증을 6개월 내 진행해 신속한 제품 출시를 지원하는 제도다.
이 같은 적합성 인증제도는 총 3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해당기업이 `적합성인증'을 신청하면 대상여부를 검토하고, 적합성 인증기준 마련·신속절차(fast-track)심사를 거쳐 6개월 이내에 최종 인증서 발급·공고된다.
융합신제품에 적용되는 적합성인증제도는 규제샌드박스와 더불어 대표적인 기업 규제 완화 제도로 융합신제품의 시장 출시를 앞당기기 위해 2014년 도입됐다.
-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발전소가 밀집한 지역의 전기요금을 낮춰주는 대신 발전소에서 멀어질수록 전기요금이 높아지는 ...
-
잠수함특허
특허 출원인이 고의적으로 특허의 등록을 늦추다가 해당 기술을 이용한 제품이 널리 보급된 시...
-
전문의약품[prescription medicine]
약리작용의 위험성이나 용법 용량에 대한 전문지식의 필요에 따라 의사의 진단과 지시에 따라서...
-
지원병제
개인의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국가와 계약에 의하여 병역에 복무하는 것으로, 자유병제라고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