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적합성인증

[適合性認證, Industrial convergence new product certificate]

융합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제품이 관련 시장에 출시에 필요한 기존 인·허가 기준에 부합하지 않거나 기준이 없는 경우 적합성 인증을 6개월 내 진행해 신속한 제품 출시를 지원하는 제도다.

이 같은 적합성 인증제도는 총 3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해당기업이 `적합성인증'을 신청하면 대상여부를 검토하고, 적합성 인증기준 마련·신속절차(fast-track)심사를 거쳐 6개월 이내에 최종 인증서 발급·공고된다.

융합신제품에 적용되는 적합성인증제도는 규제샌드박스와 더불어 대표적인 기업 규제 완화 제도로 융합신제품의 시장 출시를 앞당기기 위해 2014년 도입됐다.

  • 조정대상지역

    정부가 부동산시장 과열을 막기 위해 주택법에 근거해 지정하는 지역이다. 주택가격 상승률이 ...

  • 집합증권투자[Collective Investment Schemes, CIS]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끌어모아 기금을 조성한 뒤 유가증권에 투자해 이익금을 나...

  • 자발적 가입자

    18세 이상 60세 미만 국민 중 전업주부, 학생, 군인 등 소득이 없어 국민연금 의무가입...

  • 자유만기식 정기예금

    예금주가 일정한 저축 기간을 임의로 정하여 일정한 금액을 예치하고 그 기간이 만료될 때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