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약정수매제

 

다음해 추곡의 가격과 수매량을 미리 정해 놓고 본격적인 영농기에 들어가기 전에 개별농가와 수매량을 약정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쌀생산 농가의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농가에서는 약정물량만큼을 영농기 이전에 선도금으로 지급받기 때문에 풍년이 들어 산지 쌀시세가 떨어질 경우 볼 수 있는 손해를 미리 막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 유리장 섬유[glass fiber]

    납석 석회석 등 무기원료를 혼합해 1500도 이상 고온에서 녹인 뒤 작은 구멍을 통해 마이...

  • 위키리크스[Wikileaks]

    정부 나 기업의 비리, 불법 행위를 고발하는 사이트(http://www.wikileaks....

  •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과 아이디어를 외부에서 조달하는 한편 내부 자원을 외부와 공유하면서...

  • 오바마노믹스[Obanomics]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추구하는 경제정책과 철학을 말한다. 오바마노믹스는 핵심은 재정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