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정수매제
다음해 추곡의 가격과 수매량을 미리 정해 놓고 본격적인 영농기에 들어가기 전에 개별농가와 수매량을 약정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쌀생산 농가의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농가에서는 약정물량만큼을 영농기 이전에 선도금으로 지급받기 때문에 풍년이 들어 산지 쌀시세가 떨어질 경우 볼 수 있는 손해를 미리 막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
임대주택리츠
임대료가 주변 시세보다 낮은 임대주택 공급을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신개념 부동산투자회사(...
-
안정화[stabilization]
(통화) 화폐의 교환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한 나라의 화폐를 매입하거나 매각하는 행위. (경...
-
의약품 항공 운송 인증[the Center of Excellence for Independent Validators in Pharmaceutical Logistics certificate, CEIV Pharma certificate]
의약품 항공 운송 인증은 의약품이 운송 과정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송되도록 하는 국제...
-
아태파트너십[Asia-Pacific Partnership on Clean Development and Climate]
교토체제와 더불어 세계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체제. 2005년 미국주도로 한국, 일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