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한국-이스라엘 FTA

 

한국과 이스라엘간의 자유무역협정(FTA)으로 2016년 5월 협상이 개시되어 2021년 5월 서명되었고, 2022년 12월에 정식 발효되었다.

FTA 무관세 협정에 따라 한국은 전체 품목 가운데 95.2%에 해당하는 상품의 관세를, 이스라엘은 95.1%의 관세를 철폐했다.

수입액 기준으로 보면 한국은 이스라엘로부터 수입액 99.9%, 이스라엘은 우리나라로부터 수입액 100%에 해당하는 관세가 철폐됐다.

특히 한국의 주력 품목인 자동차(관세율 7%) 및 부품(6∼12%), 섬유(6%), 화장품(12%)에 적용되던 관세가 즉시 사라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이스라엘 관심 품목이자 우리의 민감 품목인 자몽(30%, 7년 철폐)과 의료기기(8%, 최대 10년), 복합비료(6.5%, 5년) 등은 국내 시장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게 철폐 기간을 충분히 확보했다.

  • 혼합채권형펀드

    펀드는 크게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으로 나뉜다. 혼합형은 주식과 채권을 비율대로 같이 투...

  • 한국인칩

    한국인칩은 한국인 유전체 정보 80만개 이상 담은 유전체칩을 말한다. 유전체칩은 사람마...

  • 힌덴버그 리서치[Hindenburg Research]

    미국의 ‘행동주의 공매도(Activist short selling)’를 추구하는 헷지펀드....

  • 희토류자석

    희토(rare earth)류 원소와 철, 코발트 등을 기본 구성원소로 하는 여러 영구자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