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한국-이스라엘 FTA

 

한국과 이스라엘간의 자유무역협정(FTA)으로 2016년 5월 협상이 개시되어 2021년 5월 서명되었고, 2022년 12월에 정식 발효되었다.

FTA 무관세 협정에 따라 한국은 전체 품목 가운데 95.2%에 해당하는 상품의 관세를, 이스라엘은 95.1%의 관세를 철폐했다.

수입액 기준으로 보면 한국은 이스라엘로부터 수입액 99.9%, 이스라엘은 우리나라로부터 수입액 100%에 해당하는 관세가 철폐됐다.

특히 한국의 주력 품목인 자동차(관세율 7%) 및 부품(6∼12%), 섬유(6%), 화장품(12%)에 적용되던 관세가 즉시 사라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이스라엘 관심 품목이자 우리의 민감 품목인 자몽(30%, 7년 철폐)과 의료기기(8%, 최대 10년), 복합비료(6.5%, 5년) 등은 국내 시장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게 철폐 기간을 충분히 확보했다.

  • 현금흐름이자보상비율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현금으로 이자비용을 얼마나 충당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비율로서 높...

  • 하이디어[high-idea]

    하이(High)와 아이디어(idea)의 합성어다. 아이디어보다 더 발전된, 비즈니스 모델 ...

  • 환매수수료

    수익증권에 돈을 입금한 뒤 다시 꺼내는 것을 증권 전문용어로 환매라고 한다. 만기 때 찾는...

  • 확정배당

    생명보험 상품의 예정이율이 시중의 정기예금 금리보다 낮은 경우 그 금리 차이를 보상해 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