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청색 수소

 

생산 과정에서 나온 탄소를 포집·저장해 탄소 배출량을 줄인 수소에너지. 탈황 설비에 활용되거나 차량·발전용 연료로 판매된다.

한편, 녹색(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물을 전기분해해서 얻는 수소에너지로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거의 나오지 않는다. 기존 세계 수소에너지의 약 50%는 천연가스를 고온·고압에서 분해해 얻는 회색수소(그레이수소)로 탄소배출량이 높은 편이다.

현대오일뱅크는 세계 최대 석유기업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람코와 수소 프로젝트를 전개한다. 아람코로부터 액화석유가스(LPG)를 수입한 뒤 수소생산 설비에서 청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 채무면제·유예 상품[Debt Cancelation & Debt Suspension, DCDS]

    채무면제 및 유예상품. 신용카드사가 수수료를 받은 회원에게 사망이나 질병 등 사고가 발생했...

  • 최저보증이율

    시중지표금리나 운용자산이익률이 하락하더라도 보험회사가 계약자에게 지금하기로 약속한 최저 금...

  • 최적통제준칙[optimal control rule]

    기준금리 결정 방식의 하나로, 고용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목표치 달성에 도움이 된다...

  • 참여장벽[barriers to entry]

    기업은 항상 두 가지 경쟁에 직면하고 있다. 하나는 동업타사와의 경쟁인 현재적인 경쟁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