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인포데믹

[infodemic]

정보라는 뜻의 information과 전염병을 뜻하는 epidemic의 합성어.
SNS를 통해 퍼지는 잘못된 정보가 전염병처럼 빠르게 확산되는 것 같다는 데서 유래된 용어이다.
미국 전략분석기관 인텔리 브릿지 설립자 데이비드 로스코프가 워싱턴포스트 기고문에 처음 사용하면서 알려지게 됐다.

증권가 지라시라고 통하는 출처가 불분명한 글과 루머 등이 인포데믹에 속한다. 인포데믹이 위험한 건 가짜 정보가 확인도 없이 퍼지면서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해 금융시장은 물론 국가 안보에 까지 해를 끼칠수 있다.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확산되면 빨리 진위여부를 확인해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고 올바른 정보를 다시 전달하는 기술이 인포데믹을 막을 수 있다.

  • 엔드밀[end mill]

    금형을 깍는데 사용되는 절삭 공구.

  • 이원집정부제[dual executive system, semi-presidential system]

    대통령제와 내각책임제를 절충한 정치 체제로, 대통령과 총리가 각각의 역할을 나눠 행정 권력...

  • 양적질적완화[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onetary Easing]

    중앙은행이 매입하는 자산 종류를 국채 외에 회사채, 주식까지 위험자산으로 다변화하는 것을 ...

  • 안드로이드[Android]

    구글(Google)이 2007년 11월 모바일(스마트 폰) 시장 진입을 위해 공개한 리눅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