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인포데믹

[infodemic]

정보라는 뜻의 information과 전염병을 뜻하는 epidemic의 합성어.
SNS를 통해 퍼지는 잘못된 정보가 전염병처럼 빠르게 확산되는 것 같다는 데서 유래된 용어이다.
미국 전략분석기관 인텔리 브릿지 설립자 데이비드 로스코프가 워싱턴포스트 기고문에 처음 사용하면서 알려지게 됐다.

증권가 지라시라고 통하는 출처가 불분명한 글과 루머 등이 인포데믹에 속한다. 인포데믹이 위험한 건 가짜 정보가 확인도 없이 퍼지면서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해 금융시장은 물론 국가 안보에 까지 해를 끼칠수 있다.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확산되면 빨리 진위여부를 확인해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고 올바른 정보를 다시 전달하는 기술이 인포데믹을 막을 수 있다.

  • 액티브 투자

    펀드매니저 등 전문가가 개별 종목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 선별적으로 주식을 사고파는 투자 ...

  • 앳킨슨지수[Atkinson index]

    사회 구성원의 주관적인 가치판단을 반영해 소득 분배의 불평등도를 관측하는 지수를 말한다.

  • 완전고용[full employment]

    일을 할 의사와 능력을 갖고 취직을 희망하는 자가 원칙적으로 전부 고용되는 상황을 말한다....

  • 외환시장개입

    중앙은행이 환율의 급변동을 막기 위해 자국 외환시장에서 보유 외화를 팔거나 외화를 매입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