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레이션의 저주
경기하방압력으로 물가가 떨어지는 디플레이션이 시작되면 정책금리인하가 더 이상 경기의 회생 수단으로 실효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현상.
경제주체들이 대출,소비를 늘리는 기준은 실질금리인데, 디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중앙은행이 아무리 명목금리를 낮춰도 실질금리가 떨어지기 힘들기 때문이다.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것을 의미한다.
일본 중앙은행은 1990년 버블이 붕괴한 직후 금리 인하를 머뭇거렸다. 당시 벌어졌던 걸프전을 너무 의식했던 탓이다. 중동에서 발발한 걸프전은 국제 유가를 폭등시켰고, 국제 유가 폭등은 통상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진다. 일본 중앙은행은 이 효과를 과대평가한 나머지 금리 인하에 소극적이었다.
일본 중앙은행은 1991년 중반을 넘어서야 금리를 내렸다. 하지만 때는 늦었다. 이미 만성적인 디플레이션이 시작됐고, 금리를 내려도 사람들이 느끼는 실질금리는 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일본 중앙은행은 지속해서 금리를 낮췄다. 리카가 영업하던 1995년 시장에서 예금 금리가 연 0.8%면 매우 파격적이란 이야기가 나온 배경이다.
-
대학과목선이수제[advanced placement, AP]
대학 과정을 고등학교에서 미리 듣는 제도를 뜻한다.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을 감안해 선택...
-
대안입찰[alternative tender]
대안입찰은 정부가 발주하는 1백억원 이상 대형 공사 중 정부의 원안과 달리 입찰자가 별도로...
-
다우의 개[Dogs of the Dow]
미국 다우지수(Dow-Jones Industrial Average)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
데카르트 마케팅[techart marketing]
유명예술가나 디자이너의 작품을 제품에 접목시킴으로 브랜드 이미지와 품격을 높이는 마케팅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