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비화석가치거래시장

 

태양광,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와 원전, 수소발전과 같이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전력회사와 소매 전력사업자를 연결하는 시장이다. 2018년 일본에서 개설됐다.

전력회사는 탄소프리를 공인받고 비화석가치거래시장에 전기를 판매한다. 판매대금은 신재생에너지 증설 등에 사용된다. 일반 소비자에게 전기를 공급하는 소매 전력사업자는 비화석가치거래시장에서 구입한 전기량만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일본정부는 2025년까지 일반 기업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생산된 전력을 구매할 수 있는 시장을 신설할 계획인데, 비화석가치거래시장을 기업에 개방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거론하고 있다.

전력회사와 소매 전력사업자를 연결하는 이 시장을 일반 기업에 개방하면 기업이 이 시장에서 전기를 구입해 사용하면 제품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았다는 것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된다.

  • 바이오 프로세서

    삼성전자가 자체개발한 통합센서 반도체. 스트레스 수치와 심박수 체지방 다양한 생체신호를...

  • 보증거래[secured transaction]

    증권이익에 관계되는 증권약정에 근거한 거래로서 개인 자산이나 부동산은 이행이나 부채를 위하...

  • 바이드노믹스[Bidenomics]

    바이드노믹스란 미국의 제46대 대통령 조 바이든이 추진하는 경제 정책으로, 기반 인프라 투...

  • 복수학위제도[dual degree system]

    상호 협정을 맺은 국내 대학과 외국 대학에서 학점을 이수하는 것. 양대학에서 각각 학위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