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복제율 가이드라인

 

위탁 펀드 유형별로 국민연금이 요구하는 일종의 투자 가이드라인을 말한다.
△순수주식형 △대형주형 △중소형주형 △사회책임투자형(SRI) △장기투자형 △액티브퀀트형 △배당주형 △가치형 등 8개 위탁 유형별 벤치마크 지수를 일정 비율 이상 담도록 하는 지침으로 2016년 7월 규제가 강화됐다. 하지만 이 규제는 특정 종목 또는 업종에 대한 쏠림 현상을 막기 위해 도입했지만 중소형주 하락이라는 부작용을 야기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위탁운용사들이 복제율에 맞춰 유가증권시장 중소형주와 코스닥 비중을 줄이는 과정에서 음식료, 제약·바이오 업종 등이 큰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민연금은 2016년 12월 11일 복제율 가이드라인을 2017년 초부터 폐지하기로 했다.
복제율을 폐지하면 그동안 낙폭이 컸던 중소형주의 적잖은 수혜가 예상된다. 우정사업본부, 사학연금, 공제회 등 다른 연기금들도 통상 국민연금의 투자 기준을 참고하는 성향이 강한 만큼 위탁운용사 전반의 투자전략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부동산실명제

    실소유, 권리자의 명의로만 등기를 하도록 하는 것이 부동산실명제이다. 부동산 등기제도를 악...

  • 백필터[bag filter]

    오염물질을 거르기 위해 주머니(bag) 형태로 만들어진 여과망. 걸러진 오염물질은 필터를 ...

  • 불용액

    예산에서 계획된 지출을 실제로 하지 못하고 남은 돈을 의미한다. 세출 예산에서 총세...

  • 보험가액[insurable value]

    보험사고 발생시 피보험자가 입게 되는 손해액의 최고 한도액이며 보상받을 수 있는 최고한도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