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디지털 포용성 벤치마크

[Digital Inclusion Benchmark]

기업이 지속 가능한 경영 관점에서 디지털 기술을 어느 수준으로 연구하고 사회와 얼마나 공유하는 지에 대한 지표다.

주요 글로벌 벤치마크로는 World Benchmarking Alliance(WBA)가 개발한 지수가 있는데, 접근성, 디지털 역량 강화, 혁신, 책임 있는 데이터 사용 등 다양한 항목을 평가한다.

이 벤치마크는 기업이나 정부의 디지털 포용 성과를 비교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제시함으로써 사회 전체의 포용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 대체가능물품[fungible goods or materaials]

    곡물, 원유, 철강재, 볼트, 너트, 베어링, 플라스틱레진 등과 같이 물품의 특성, 기능,...

  • 동일노동 동일임금[Equal pay for equal work]

    산업 간 또는 기업 간 생산성 또는 이윤율의 차이에 상관없이 동일한 일을 하면 동일한 임금...

  • 당번 약국제

    야간이나 휴일에도 지역별로 약국을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2001년 의약분업제 실시 이후 ...

  • 두경부암

    머리와 목에 생기는 대부분의 암을 지칭한다. 위암 폐암 간암 대장암 등과 달리 발생 위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