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증여세 과세특례

 

경영자가 생전에 자녀에게 가업을 사전 승계하도록 돕는 세제.

조세특례제한법상 증여세 과세특례 요건은 가업상속공제와 비슷하다. 증여자 조건으로 ‘중소기업 등의 가업을 10년 이상 경영한 60세 이상의 부모’ 등이 추가돼 있다. 일반적인 증여와 달리 누진세율(최대 50%)을 적용받지 않고 과세표준 30억원까지 10%, 100억원까지 20%의 증여세율을 적용받는다. 증여세 과세특례 적용 실적은 2018년 기준 204건, 3119억원(이용금액)이다.

기업인은 상속공제보다 사전 증여를 선호한다. 후계 경영자가 안정된 경영권을 확보한 상황에서 경영 수업을 받는 게 낫다고 보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달리 체계적인 경영 시스템이 미비해 의사결정이 대표 1인에게 집중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경영자 사망 전 승계 준비가 중요하다.

그럼에도 증여세 과세특례의 이용 건수가 적은 것은 그만큼 제한이 많기 때문이다. 기업승계의 증여세 특례세율 적용 한도는 최대 100억원으로 가업상속공제 한도(500억원)를 크게 밑돈다. 중소기업중앙회 실태조사에 따르면 기업승계 계획이 있는 경영자의 69.4%가 증여세 과세특례 한도를 가업상속공제만큼 확대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과세특례를 받아도 창업주 사망 시 상속세 과세가액에 합산되기 때문에 실익이 적다는 분석도 있다. 경기 안산시에서 제조업을 30년간 운영해온 김모 대표(71)는 아들에게 보유 지분(70%) 중 약 20%를 사전 증여하려다가 포기했다. 이 회사의 가치는 150억원 정도로 과세특례를 이용하면 20% 지분 증여에 대한 세금(2억5000만원)이 크게 줄어든다. 하지만 그는 “사망 후 특례 적용됐던 지분이 상속세로 다시 정산된다는 점을 알고는 계획을 접을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현재 증여세 특례는 상속세를 선납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설명이다.

  • 자유무역

    민간업체에 의한 무역활동을 국가가 일체 간섭하지 않고 자유롭게 방임함으로써 국가의 무역관리...

  • 주택구매능력

    연간 가계 평균소득 대비 주택 중간가격 배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수치가 낮을수록 주택구...

  • 지분 쪼개기

    재개발 등이 예상되는 지역에 입주권을 노리고 나대지에 소형 다세대주택을 새로 짓거나 단독주...

  • 징벌적 손해배상[punitive damages]

    기업이 불법행위를 통해 영리적 이익을 얻은 경우 이익보다 훨씬 더 큰 금액을 손해배상액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