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엑스큐브

[X-cube]

웨이퍼(반도체 원재료)에 회로를 새긴 상태의 칩을 여러 개 얇게 쌓아 하나의 반도체로 만드는 기술이다. 로직 칩과 캐시 메모리 칩을 따로 만든 뒤 직렬 배치해 전체 칩 면적을 줄이고 자유로운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2020년 8월 13일 삼성전자가 시스템 반도체를 3차원(3D) 형태로 쌓아 올린 ‘X-큐브’ 기술을 적용한 테스트 칩을 생산했다고 밝혔다.

7나노미터(nm=10억분의 1m) 이하 극자외선(EUV) 공정에 이를 적용한 것은 삼성이 세계 최초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고객 의뢰를 받으면 바로 제품을 개발·양산할 수 있는 채비도 마쳐 대만 TSMC와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경합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

  • 아서 래퍼[Arthur B. Laffer]

    아서 래퍼(Arthur B Laffer)는 미국의 대표적인 공급주의 경제학자다. 미국 테네...

  • 이동평균선 정배열

    이동평균선이 단기이동평균선부터 중.장기 이동평균선 순으로 차례로 나열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

  • 유럽통화기구[European Monetary Institute, EMI]

    유럽경제통화동맹(EMU)을 출범시키기 위한 3단계 과정중 2단계 조치의 일환으로 1994년...

  • 역환매조건부약정[reverse repo]

    중앙은행의 공개시장운영 수단 중 하나다. 나라별로 정반대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