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노동유연성

[Labour market flexibility]

경기침체나 회복 등 외부 변수에 따라 인적자원을 신속하고 탄력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노동시장의 능력.

노동유연성이 높으면 고용주가 근로자를 쉽게 해고할 수 있어 노동자의 근로 안정성은 떨어진다. 반면 노동유연성이 낮으면 신규 채용이 줄어들어 청년실업률은 올라가게 된다.


세계경제포럼 자료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미국은 OECD 36개국 중 두 번째로 노동유연성이 높은 데 비해 한국은 34위로 최하위다.

국내에서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긴박한 경영상의 이유, 노조와의 협의, 고용노동부 장관의 허가 등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사실상 정리해고가 불가능한 구조다. 한국만의 독특한 ‘연공서열형 임금체계’, 즉 호봉제도 노동유연성을 떨어뜨리는 데 한몫한다.

  • 넥스트레이드[Nextrade]

    2025년 3월 4일 한국에서 출범 예정인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는 한국거래소(KR...

  • 노사관계 로드맵

    2003년 9월 발표된 노사관계 개혁 방향으로 공무원노조 허용과 퇴직연금제 도입,노사관계 ...

  • 넛 크래커[nut-cracker]

    넛 크래커(nut-cracker)’는 호두를 양쪽에서 눌러 까는 호두까기 기계를 말하는데,...

  • 네토피아[Netopia]

    인터넷(Internet)과 유토피아(Utopia)의 합성어. 인터넷을 중심으로 영위되는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