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실업급여

 

실업급여는 정부가 실직 근로자의 생계를 지원하고 재취업을 촉진하기 위해 1995년에 도입한 고용보험 제도다. 고용보험에 가입한 사업장에서 최근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하다가,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퇴직한 경우 수급 자격이 주어진다.

수급 요건은 이직일 기준 최근 18개월 중 180일 이상을 고용보험 피보험자로 근무한 경우다. 퇴직 사유는 폐업, 도산, 구조조정, 계약 만료 등 비자발적이어야 하며, 재취업 의사와 능력을 갖추고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해야 한다.

실업급여는 구직급여와 취업촉진수당으로 나뉜다. 구직급여는 실직자의 생계 유지를 위해 일정 기간 동안 지급되는 기본급여로, 수급자의 평균임금의 일정 비율(통상 60%)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한다. 2020년 기준으로는 주 40시간 기준 최저임금보다 높은 월 181만 원 수준이 지급되기도 했다.

취업촉진수당은 실업 장기화를 막고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제도로, 구직급여 소정 급여일수의 절반을 남기고 조기 취업에 성공한 경우 일정 금액이 일시금으로 지급된다. 여기에 직업능력개발수당, 광역구직활동비, 이주비 등이 포함되어 있다.

관련어

  • 신개발은행[New Development Bank, NDB]

    브라질과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는 브릭스(BRICS) 5개국이 미국주도의 국...

  • 소프트 브렉시트[soft Brexit]

    영국이 EU를 탈퇴하는 방식에서 일정한 분담금을 내면서 단일시장 접근권만은 유지하는 방식....

  • 서울시교육감

    서울시내 교육을 관할하는 교육 수장이다. 서울시교육청의 한 해 예산 6조원을 쥐고 있는 막...

  • 신약

    기존 의약품과는 화학구조 또는 본질 조성이 전혀 새로운 신물질의약품 또는 신물질을 유효성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