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실망실업

 

일자리를 얻기 어려워 아예 포기한 경우이다. 경기침체로 취업가능성이 낮거나조건이 맞지 않아 일시적으로 구직활동을 포기하고 노동시장에서 퇴장한 노동력인 셈이다. 이들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구직활동을 하지 않을 수 없고 실업자로 현재화할 가능성이 높다. 실망실업자는 정상적인 경기순환시에는 인력수급의 완충역할을 하기도 한다.

관련어

  • 세출불용액

    세출이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1년간 방위비, 경제 개발비, 사회개발비, 교육비, 일반행정...

  • 선물[futures]

    파생상품의 한 종류로 선매후물(선매매, 후물건 인수도)의 거래방식을 말한다. 즉, 상품이나...

  • 생산관리지역

    농업·임업·어업 생산 등을 위하여 관리가 필요하나, 주변 용도지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 상대강도지수[relative strength index, RSI]

    현재 추세의 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언제 주가 추세가 전환될 것인가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