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맞춤형 화장품

 

개인의 피부 상태나 취향에 맞춰 원료를 배합해 만드는 제품을 말한다.
조제관리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이 1)화장품의 내용물을 소분하거나 2)화장품의 내용물에 식약처장이 정한 원료를 혼합한 화장품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4년간 시범사업을 마치고 2020년 3월 14일부터 맞춤형 화장품 판매업 제도를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취향을 중시하는 개인화 트렌드와 맞물리면서 업계에서는 맞춤형 화장품이 뷰티 시장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메타버스[metaverse]

    가상세계와 현실이 뒤섞여 시공간의 제약이 사라진 세상이다. 가공·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

  • 마스트리히트조약[Treaties of Maastricht]

    EC(유럽공동체)가 시장통합을 넘어 정치·경제적 통합체로 결합하기 위한 터전이 된 조약. ...

  • 미공개 신기술

    특허 출원은 했지만 등록은 되지 않은 기술을 뜻한다. 미공개 신기술의 장점은 특허 등록 전...

  • 무형자산[intangible assets]

    무형자산은 물리적 존재형태가 없는 자산으로서 장래의 경제적 효익의 가치와 존속기간이 다른 ...